웹을 지탱하는 기술 04
·
Review
POST vs PUT POST와 PUT은 둘 다 비슷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. POST POST로 리소스를 작성할 경우, 클라이언트는 리소스의 URI를 지정할 수 없다. URI의 결정권은 서버측에 있다. 글을 포스팅하는 경우 그 글의 URI는 서버가 결정한다. PUT PUT으로 리소스를 작성할 경우, 리소스의 URI는 클라이언트가 결정한다. WIKI의 수정은 클라이언트가 결정한 타이틀이 그래도 URI가 된다. 이 경우는 PUT이 적합하다. 단 PUT은 리소스가 중복되어 덮어쓰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서 사전에 URI 존재 여부를 체크해야 할 수도 있다.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적합한 URI를 결정하기 위해선 클라이언트단이 서버 내부 구조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. 이런 점 때문에 PUT이 ..
웹을 지탱하는 기술 01
·
Review
HTML / URI / HTML HTML은 HTTP로 통신한다 HTML의 링크는 URI를 이용한다 HTTP는 URI로 조작 대상을 지정한다. 웹의 특징 1. 하이퍼미디어 텍스트와 이미지, 음성,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하이퍼링크로 연결해 구성한 시스템 웹 페이지에는 삽입된 이미지, 동영상으로의 링크가 포함된다. 사용자는 브라 우절 르 이용해 자유롭게 그것들을 따라갈 수 있다. 2. 분산 시스템 복수의 컴퓨터를 조합해 처리를 분산시키는 시스템 복수의 컴퓨터상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다루거나, 한 대의 컴퓨터로는 다루기 힘든 방대한 정보를 조작할 수 있다. 웹은 프로토콜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전 세계 규모의 방대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. 또 OS,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받지 않고 다양한 디바이스..